스마트 수화방송서비스 개선…청각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
페이지 정보

본문
스마트 수화방송서비스 개선…청각장애인 방송접근권 확대 | ||||
방통위, 스마트 수화방송서비스 기술 표준 제정…방송·인터넷 융합미디어 동기화 기술 세계 최초 적용 | ||||
| ||||
[KNS뉴스통신=강윤희 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청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을 확대하고 일반시청자의 방송 시청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현행 수화방송서비스를 개선한 스마트 수화방송서비스 표준을 제정했다고 27일 밝혔다. 현행 수화방송은 크기가 작고 수화영상의 제고, 크기·위치 조정이 불가능해 청각장애인 및 일반시청자의 TV 시청에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돼왔다. 이에 방통위는 지난해부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협력해 스마트 수화방송서비스 기술표준 개발을 추진했으며, TTA에 구축한 시험환경과 KBS의 지상파 실험방송을 통해 핵심 기술요소와 현재의 방송환경에서 기술표준안의 유효성 및 실현 가능성을 점검했다. 이번에 제정된 스마트 수화방송서비스 표준은 방송영상과 수화영상을 방송망과 인터넷망으로 각기 제공해 동시에 한 화면에 재생하는 수화영상의 제거, 크기·위치 조정이 가능한 방송과 인터넷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방송방식에 대한 제반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번 표준은 세계 최초로 방송과 인터넷의 융합미디어 동기화 기술을 수화방송서비스에 적용한 사례이다. 방통위는 “스마트 수화방송 서비스를 통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미디어 환경이 청각장애인의 방송접근권 보장 및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출처:KNS뉴스통신] |
- 이전글[성명] 장애인의 희생을 강요하는 제대군인 가산점 입법추진 즉각 중지하라! 15.04.28
- 다음글호스티스 출신 청각장애인 일본 구의원 당선 15.04.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